본문 바로가기
정보

청년도약계좌로 돈 모아봐요. 청년도약계좌의 자격, 나이, 신청조건.

by 로토루아8 2023. 5. 15.
반응형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위해 만들어진 정책형 금융 상품으로 매월 70만원 한도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 5000만원을 모을수 있다고해요. 요즘엔 청년들을 위한 이런 혜택들이 많아서 잘만 알면 돈을 좀 더 많이 모을수 있겠더라고요.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2023년 6월부터 가입신청이 가능합니다. 매월 2주동안 신청을 받고 2~3주내로 심사 후 결과 통보가 온다고해요.

청년 희망 적금 중복가입 안되고 청년 내일 저축계좌, 채움공제는 중복가입이 가능합니다. 매월 70만원한도내에서 내가 원하는 만큼 저축할수 있고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이 있어 일반적금보다 목돈 모으는데 좋아요. 5년 만기인 적금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조건.

만 19세부터 36세로 병역 이행한 경우 최대 6년은 연령계산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소득조건이 총급여 7500만원이하로 총급여 6000만원 이하는 정부기여금 지급, 비과세적용되고 총급여 6000만원에서 7500만원까지는 비과세만 적용됩니다. 

가구소득기준 중위 180% 이하에 해당되는 분이에요. 비과세란? 국세청 등이 세금을 부과하는 과세권이 처음부터 없는 것으로 세금 자체가 발생하지 않아서 신고의무가 없습니다. 

중위소득은 총가구를 소득순으로 나열하여 차례를 정할 때 한가운데를 차지하는 가구의 소득이로 2023년 기준 중위소득은 1인 가구가 2,077,892  2인가구는 3,456,155 3인가구는 4,434,816 4인가구는 5,400,964 5인가구는 6,330,688 6인가구는 7,227,981 이라고해요.

 

청년도약계좌 만기수령액.

본인납임금과 정부기여금과 경과이자를 받을 수 있는데 개인 소득이 낮을수록 지원이 많고, 총급여 기준 4800만원 이하면 월 40만원부터 60만원 납입 한도가 조정된다고해요.

기여금 지급한도를 보면 개인소득이 2400만원 이하면 기여금 지급한도 월 40만원, 기여금 한도는 2.4만원. 개인소득이 6000만원이하면 기여금 지급한도가 70만원까지 한도는 2.1만원.

만약 70만원식 5년간 적금을 넣는다면 원금은 4200만원 여기에 정부 기여금이 21000기준을 더하면 60개월하면 126만원이되죠. 연 이자가 6%라고 하면 이자는 640만 5천원으로 총 49,665,00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