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알쓸신잡2 강남의 탄생

by 로토루아8 2017. 12. 23.
반응형

그렇다면 보통 사람들이 말하는 강남이 어디일까?

강남, 서초, 송파 정도가 머릿속에 그리는 강남?

1960년대까지 한강 이남의 도시는 거의 영등포가 유일했다고해요

강남을 처음 개발할때 영동지구 (남서울)개발사업이라고했다고해요

1968년 본격 시작한 영등포 동쪽의 빈 땅 개발을 시작으로

개발이 본격화되며 탄생한 강남구는 1975년에 신설됨

서울인구가 1960년대 약 240만명이었던게 1970년대에 약 550만명이됨

포화상태인 기존 서울이 아닌 다른 곳에 사람들을 살게 해야했다고

어쩌면 강남이야말로 대한민국 이주민의 도시

강북에서 넘어온 사람들이든 지방에서 넘어온 사람들이든

지금은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잇는 거대 도시 강남

양재천은 빨래터였던 시절

강남 개발 이전까지만 해도 

야구할데 천지였다고 흙바닥에 공터가 많았던 강남

비가오면 아스팔트로 흙물이 내려와서 뻘겋게 되어잇는 수준이었다고

70~80년대만 해도 강남지역은 지금과 매우 다른 모습이었는데

물류와 관련해서도 강남이 유래했다고해요.

한남대교로 이어지는 지역은 물류에 유리한 지역이었다!

그후 영동대교와 영동대로가 생기는데 코엑*와 삼성역을 지남 영동대로는 강남에서

제일 중요한 길로 제일 넓은 도로임

기초 도로망이 확보된 후 80년대 한강 개발도 진행된다

도심구간 한강을 시멘트로 발라서 시멘트로 한가으이 수로를 고정한다

많은 사람과 물건을 실어 나르고 있다.

80년대 한강 본격 개발 전에 한강은 50만 인파가 찾는 피서지였다고해요

한강은 사람들이 찾는 백사장을 지닌 강이었음

70년대 말까지

강남 발전에 큰 역할을 한 건 고교평준화라고해요

우리나라가 아시다시피 500년 넘게 유교 사회에 있었고

과거제도를 통해서 신분 상승을 할 수 있게끔

사람이 장원급제를 해야 하는구나

1970년대 초 한국인의 교육열을 반영하듯 서울엔 명문 고등학교들이 존재했다

고교 간의 학력 격차를 줄이고 일류고등학교 현상의 폐단을 없앨 목적으로

1974년 고교평준화가 도입된다.

고교평준화란? 

학생을 해당 지역 일반계 고등학교에 추첨으로 배정하는 교육제도입니다.

명문고를 뽑아서 강남 지역에 심어라!!

총 18개의 고등학교가 한강 이남으로 이전하게 됐다고

불만과 거부가 있었지만 당시 정부의 특성상 이주해야 한다.

학구열이 뜨거운 한국에서 학연 이라는 조건을 카드로 내민 것

강남 발전의 요인

1. 명문고의 강남이전

2. 물류에 유리한 교통 기반

3. 고층아파트 단지 개발

좁은 땅에 되도록 많은 사람을 수용하려면  아파트가 필요함

상대적으로 땅값이 저렴하기도 했던 강남

개발이익도 많이 남

농사를 짓지 않는 땅으로 돈을 버는 계층이 등장함

강남으로 이사하는 친구들은 아파트로 이사했는데

처음엔 낯설기도 했던 강남의 아파트들

아파트는 현대적인 생활으 로망이엇다고

청담동의 공원?

강남이 예전에 농촌이었다는 흔적이 거의 안 남아있는데

청담동 안에 조그마한 비석이 있다고해요

애향비 고향을 그리면서 써 놓은건데 

그래서 진흥왕, 광개토대왕, 옛 왕들이 비석을 그렇게세웠나보다

비석에 새겨 오래도록 남기고 싶던 이야기는 무엇이었을까?

같은 땅 위에 있어도 꿈에서만 고향을 더듬어 보는 제자리 실향민


집성촌이었던거 같다고 한집안의 사람들이 피붙이들이 많은 거 같다고

여기가 물이 맑아서 집집마다 우물들이 너무 맛있었대요

물이 맑던 청숫골, 지금은 청담

청담이 개발되고, 부촌으로 바뀌면서 고향을 잃은 사람들

실향민이 따로있나 라는 말의 울림...

고향이란 단지 땅이 아니라 추억이 담긴 문화, 공간 체계라고

<출처: tvN 알쓸신잡2.>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