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알쓸신잡2 강남의 꿈

by 로토루아8 2017. 12. 24.
반응형

제3한강교는 지금의 한남대교

제3한강교는 70년대의 국민 여동생으로 가수 혜은이의 79년 발표곡입니다.

당시 제3 한강교라는 시대의 아이콘을 노래하며 디스코 열풍을 일으켰다.

요즘으로 치면 양화대교

이게 약간 사회적인 함의가 담겨 있는 가사인거 같다고

제3한강교를 지나면 바로 신사동이 나옴

조세특례를 엄청 준거지 강남에

황석영의 소설인 강남몽에서

강남의 개발에 관련되는 간략한 약사 같은거 비슷하다고

백화점을 중심으로 자본가, 유흥가, 군인, 조폭, 부동산업자, 백화점 점원등

여러 강남 사람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일제강점기에서 시작해 삼풍백화점이 무너지기까지

강남구의 형성과정을 소설로 담았다고해요

삼풍 백화점 사건은 이제 지나갔지만 

사람의 욕망이란 표현보다는 본능이라고 말하고 싶다고

계속 일어나는 행동 패턴에 대해서 선악을 구분 짓는 것은

사람을 이해하기 어렵게 만든다

사실 누구나 잘 살고 싶어하고 누구나 자식을 좋은데서 키우고 싶고

좋은 환경을 주고 싶은 것은 누구나 같은 욕구라고

필요한 것은 돈이나 권력

돈과 권력을 최고의 가치로 만든 사회적 구조

한국은 잘 사는 사람에게는 너무나 행복한..

그 어느 나라보다 잘 살지만

사회적 약자에게 너무 각박한 우리나라

두번째 일체유심조

사회의 문제라고만 생각하면 벗어날 수 없어요

마음의 문제라고만 생각하면 사회적 해결이 어려워요

우리가 서로를 덜 괴롭히는 방향으로 바꾸기 위한 노력도 해야되고

동시에 그건 오래 걸리는 일이기 때문에 정신적인 해법을 강구해야된다고

사람은 다 비슷비슷해서 경쟁이 붙게된다고

어떻게 사는 삶이 행복한 삶인가?

당사자가 된다면 결정하기 어려운 문제임


그 정도의 규모가 된다면 그 다음부터는 본질이 흔들린다고

뭐가 더 좋고 나쁘냐의 문제가 아니라



좋은 아파트도 많은데 더 좋은 아파트를 가려고 노력한다

그거때문에 자기가 왠지 불행해지는 느낌을 갖는 거예요

그럴 필요가 없는데...

사람들마다 개성이 다르기 때문에 내 것에 의미를 부여하면 된다.

우리나라가 급격한 발전을 할 수 잇었던 이유는 욕망때문인것 같다고

그것이 그냥 내가 좋아하는 모습이니까 지금이 좋다고

욕망이란 것은 사람마다 너무나 다르다

그러한 다양한 욕망이 조금 더 모이는 곳이 강남은 아닐까..

상대적으로 그게 강한 사람들이 강남에 모여요

왜 강남인가 하는 물음은 결국

그 안정성이 뭐가 제일 좋으냐.. 대한민국의 경우에는 부동산임

그 트렌드가 이상하게 안 바뀜.

여러가지 잘 갖춰져 있기 때문에 웬만해서는 움직여지기 좀 어려운 부분도 있는데

우리가 강남을 통해 마주치는 고민들

그 트렌드도 조금씩 바뀌고 있다는 것.



<출처: tvN 알쓸신잡2>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