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관념에 갇힌 엄마 역할을 수행함.
소꿉놀이를 통해 바라본 내가 생각한 부부의 모습.
세상이 원한느 숭고한 모성애
독립한 아들의 집안일까지 대신 해주는 엄마.
엄마가 청소 후 변화된 물건의 위치. 소지품 검사가싫어서 방문을 잠그고 다녔다고
아이는 부모의 보호가 필요하고 부모에게 책임을 강조한 것일뿐이라고함.
아이 양육의 책임= 엄마라는 공식이 존재해
반대로 엄마의 부주의 일 경우 전담하는 책임자의 몫을 운운하는 것.
사회적으로 요구받는 엄마 아빠 역할 차이가 다소 존재함.
감동보다는 헛웃음이 나왔다고해요
광고와 드라마. 영화 속에 등장하는 출산의 감동이
감동과 감격의 순간은 없어 모성애가 없나 걱정하기도했다고
임신의 신체적 변화와 고통보다도 생명의 소중함을 강조.
예를 들어 동물의 새끼를 낳는 장면도 본다면 트라우마로 남을 가능성이 있다고
아이 양육의 부주의를 엄마 탓으로 돌리리 일쑤임.
늦게까지 진행되는 회의와 잦은 회식.
평생 끝없는 반복되는 엄마노릇!
그래서 생겨난 신조어가
맘+ 알고리즘= 맘고리즘.
육아와 돌봄을 엄마에게 전담시키는 방식임.
희생과 헌신이 뒤따르는 엄마.
출산과 양육을 하지 않겠다고 하자 들었떤 말이
출산 이후 엄마로서 해내야만 하는 육아.
갓난아이를 떼어놓을 수 없었기에 결국 작년에 퇴사했다고해요.
부모의 역할과 내 삶의 가치 사이에서 갈등이되고
우리 엄마와 달라진 세상을 살거라고 생각했는데
한 사람이고 여자이기 이전에 모든걸 감당해야 해난 이름. 엄마.
맘고리즘이란?
출산. 경력단절. 황혼 육아까지 이어지는 기승전 돌봄 육아 여성 생애주기를 빗대어
표현한 말이에요.
그야말로 맘고리즘.
엄마 역할에 대한 끊임없는 고민과 갈등.
그리고 세계 곳곳에서 터져 나온 엄마들의 고백.
극찬과 비난이 오간 졸모.
엄마를 졸업한다= 졸모
처음에는 다소 무책임하게 느껴쪗던 졸모선언.
아이와 부모의 관계단절이 아닌 서로의 독립을 존중한 결정임.
혼자만 하는 육아의 압박감으로 인해 졸모 선언 증가가 예상됨.
졸모선언은 사회 현상과 함께 생각해볼 문제임.
중요한것은 엄마 됨을 후회한다는 것이
자녀를 미워하고 싫다는 감정이 아닌 것!!
단지 강요되는 엄마 역할이 너무 힘듦을 토로한 것일뿐
둘 중의 하나를 선택해야만 되는 압박 상황
<출처: EBS1 까칠남녀>
댓글